페이지 인쇄 | 네이버 블로그 | 다음 블로그               

 
 
 아이디 저장하기
 



원장 인사말 동정 비전과 목표, 연혁 CI 소개 국부연 지부 조직 및 운영 국유재산 담당부서 및 관계기관 연구 공지사항 찾아오시는 길

연구 공지사항

 
우리나라 2014 해외직접투자 동향 분석 (2015.12)
관리자
작성일 : 15-12-18 15:03  조회 : 2,522회 

우리나라 해외직접투자 동향

□ (투자액) ‘14년 투자액은 전년대비 7.8% 증가한 306억 달러 기록
 
 ◦ ‘06년 최초로 100억 달러를 돌파한 후, ’07년 200억 달러, ‘12년 300억 달러를 초과하는 등 금융위기 이후 세계 해외직접투자 성장흐름보다 더 높은 성장세 지속
  <우리나라 해외직접투자 동향>
(억달러)


□ (경제권별 구성) 선진국 앞 투자비중은 세계 평균(40.6%) 대비 6.5%p 높은 수준이나, 개발도상국 및 체제전환국 앞 투자비중은 세계 평균(각각 55.5% 및 3.9%) 대비 각각 4.0%p, 2.5%p 낮음.

 ◦ 한편, 우리나라의 해외직접투자는 특정국가 집중도가 높아, ‘14년 투자대상 상위 5개국(미국, 중국, 호주, 베트남, 사우디) 앞 투자비중이 49.6%에 달함(세계 평균 37.8%).
□ (업종별 구성) 서비스업(52.6%) 및 1차산업(20.4%)에 대한 투자비중이 세계(각각 50.6%, 7.5%) 대비 높은 편이며, 제조업(27.0%)의 경우 세계(41.9%) 대비 낮은 수준을 기록  
  ◦ 우리나라 서비스업 투자의 경우 부동산업(28.1%), 금융보험업(27.9%), 도소매업(10.6%)을 중심으로 투자가 이루어졌으나, 세계 전체 기준으로는 컨설팅․시설관리 등 사업지원서비스업, 전기․가스․수도업, 건설업에 대한 투자가 활발
   * 세계 제조업 투자비중 : (‘11) 44.5% → (’12) 40.3% → (‘13) 37.6% → (’14) 41.9%
    우리나라 제조업 투자비중 : (‘11) 30.7% → (’12) 28.9% → (‘13) 32.0% → (’14) 27.0%

□ (진입방식별 구성) ‘14년 M&A 투자비중은 26.2%로 세계(36.4%) 대비  낮은 수준이나, 전년대비 3.7%p 상승하였음.

   * M&A 투자 비중 : (‘11) 25.3% → (’12) 23.3% → (‘13) 22.5% → (’14) 26.2%
3. 우리나라 해외 현지법인 경영실적

□ (분석대상) ‘14년말 투자잔액이 100만 달러를 초과하는 비금융보험업 현지법인 8,490개사 중 자료제출법인 5,666개사 대상(투자잔액 기준 전체 현지법인 46,948개사의 68.1% 해당)
 
□ (경영실적) 성장성 및 수익성이 둔화된 가운데 안정성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기록


 ◦ (성장성) 중남미지역(광업․도소매업) 및 아시아․아프리카 지역(도소매업) 현지법인의 매출 감소로 인해 매출액증가율이 전년대비 크게 하락(10.7%→△3.2%)하며 성장성 둔화 추세 지속

   - (매출구성) 업종별로는 제조업(51.4%)과 도소매업(39.1%)이 전체 매출액의 90.5%를 차지하였으며, 국가별로는 중국(33.4%)과 미국(17.7%)이 전체 매출액의 51.1%를 차지
 ◦ (수익성) 영업이익률은 전년대비 0.4%p 하락한 3.2%를 기록하였으며, 당기순이익률은 전년(1.8%)과 비슷한 수준인 1.7% 기록

   - 제조업(2.8%→2.9%)과 광업(△1.3%→2.3%)의 수익성(당기순이익률)은 전년대비 개선되었으나, 도소매업(1.3%→0.7%)은 전년대비 하락

   - 미국 투자는 경기 회복세에 힘입어 수익성이 개선(0.9%→1.7%)되었으나 중국 투자는 경제 성장세 둔화에 따른 제조업 및 도소매업 법인의 매출․영업이익 감소로 인해 수익성이 소폭 하락(3.5%→3.3%)
 ◦ (안정성) 부채비율 164.8%, 유동비율 129.8%, 차입금의존도 28.0%로 안정성지표는 모두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

□ (투자효과) 투자수익률은 전년대비 하락하였으나, 배당금수취액 및 무역수지효과는 개선세 시현

 ◦ (투자수익률) 투자자순이익 및 로열티 수익 감소 등으로 전년대비  3.5%p 하락한 9.0%의 투자수익률 기록

 ◦ (배당금) 한국투자자 앞 배당금 지급액은 58.6억 달러로 전년 54.5억 달러 대비 7.5% 증가


 
◦ (무역수지효과) 현지법인 앞 순수출액*을 투자잔액으로 나눈 무역수지효과는 73.3%로 전년대비 4.0%p 상승
     * 현지법인 앞 수출액에서 현지법인으로부터의 수입액을 차감하여 산출

   - 현지법인앞 수출액은 2,241억 달러로 우리나라 총 수출액(5,727억 달러)의 39.1% 차지
<현지법인 앞 순수출 및 무역수지효과 추이>


4. 시 사 점

□ 해외직접투자로 인해 유발되는 현지법인 앞 무역수지효과*, 배당금 및 로열티 수입 등을 고려할 때, 해외직접투자가 우리나라 경제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14년 중 현지법인 앞 순수출액(현지법인과의 수출액 - 수입액)은 1,104억 달러, 배당금 및 로열티 수입은 각각 59억 달러, 54억 달러 기록 
  
   * 무역수지효과(순수출액 ÷ 투자잔액) : (‘12) 60.9% → (’13) 69.3% → (‘14) 73.3%

□ 우리나라의 해외직접투자는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며 세계경제지위에 상응하는 규모*를 갖추었으나, 투자구성 측면에서 유망 서비스업 투자 활성화 및 M&A투자 촉진이 필요
   * 해외직접투자 규모 순위 : (‘11) 16위 → (’12) 12위 → (‘13) 13위 → (’14) 13위

 ◦ 생산기반 이전을 목적으로 하는 제조업 중심 하드웨어 투자에서 발전하여, IT·문화·금융 등의 소프트웨어 수익기반 강화를 위한 서비스업 투자 활성화 추진

 ◦ M&A투자는 빠른 시장진입, 시너지 발생 등의 장점을 갖고 있어 널리 이용되는 해외투자방식으로, 우리나라도 글로벌 경영역량을 강화하고 성공적인 기업통합전략을 준비하여 해외M&A에 적극 참여 필요

(수은해외경제연구소; 201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