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인쇄 | 네이버 블로그 | 다음 블로그               

 
 
 아이디 저장하기
 



원장 인사말 동정 비전과 목표, 연혁 CI 소개 국부연 지부 조직 및 운영 국유재산 담당부서 및 관계기관 연구 공지사항 찾아오시는 길

연구 공지사항

 
조선후기 문인 정하언 삶과 예술적공간 재 출시
관리자
작성일 : 19-06-14 10:19  조회 : 1,527회 
    표지2.pdf (7.5M) [8] DATE : 2019-06-14 10:19:31
국립중앙도서관, 규장각, 대전시립박물관 등에서 잠자고 있는 자료를 모아 
조선후기 문인 정하언 삶과 예술적공간 재 출시하였습니다.

 

수많은 외침과 내란, 환란을 겪으면서 수많은 사료와 기록이 전해 내려오고 있는데, 선인들이 남긴 역사적인 사료 및 문화유산은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특히 젊은 세대는 조상님이 남기고 간 편지나 간찰 한 점 읽거나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입니다. 또한, 외국에 유출된 문화 유물도 어렵게 다시 국내에 들어오면 박물관이나 도서관에 계속 사장(死藏)되고 있습니다. 이는 민족문화 계승을 생각하지 않고 단순히 물질 중심의 성장 및 교육정책, 특히 공용어에서 한글과 영어 상용만을 고집하는 단편적 교육으로 인하여 생긴 현상이라고 생각됩니다.

 

이러한 선조들이 남긴 문화유산은 나라재산(국유재산중 보존용재산)의 가치를 높힐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역사적 과업입니다. 옥석 같은 선조문화유산을 진품명품으로 만들어 국부를 높이는 사업은 세율을 높이여 세수증대 보다도 매우 가치있는 과업입니다.

그러므로 한국국유부동산연구원과 필자는 국유재산법에서 보존용재산인 국보나 문화재, 사적지의 최적 관리와 보존은 현대인과 후손들이 접근이 용이하도록 관련서적을 편찬하였습니다.

필자는 유럽 및 미국 등 문화 선진국을 방문한 적이 있는데, 이들은 자국 역사 및 조상에 대한 높은 자긍심과 역사적 문화 사랑에 매우 놀랐습니다. 그들은 역사상 흐름과 사건들을 세세히 기억하고 있었으며, 역사적 가르침을 현대화하여 문화발전의 원동력을 키워나가고 있었습니다. 그 사례로 미국인들은 인디안 문화를 말살하려고 역사 교과서에 관련 내용 삽입을 부정하였으나 이제는 인디안 문화를 재평가하고 일상생활 속에서 창조성을 가질 수 있는 어젠더로 흡수하여 독창적 문화발전 모색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에 필자는 문화적 다양성을 높이기 위하여 책과 자연 속에 묻혀있는 역사 발굴 목적으로, 필자는 소재를 조선의 문화 융성기 숙종과 영조시절의 충효청백리위민정치로 백성들로부터 애민선정비를 제일 많이 받은[3개 지역(화순, 함양, 강화)] 정무 공주목사와 조선시대 속대전 주저자이고, 인생 스토리(Story)가 파란만장한 그의 아들 정하언공으로 정하고 그들 삶의 일대기를 조명해 보고자 하였습니다.

 

이들에 대한 자료는, 현존하는 규장각 및 국립중앙도서관, 종친회 사료와 전국에 흩어진 자연 속의 암각 및 누각(樓閣) 등을 중심으로 1995년부터 자료를 모았습니다. 주인공(정무공과 하언공)이 일생을 보낸 지역과 문화유산 기록들이 공주, 부여, 익산 등은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 및 기록 유산으로 지정되는데 일조를 하였습니다. 이에 필자는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잠자는 역사를 역동의 역사로 만들기 위해 속에 담아 집필하였습니다.

 

정하언(鄭夏彦,1702~1769)공은 어린나이에 조실부모하고 백마강기슭 옥호동(부여군 규암리)에서 배다른 형수 슬하에서 성장하면서 서당(書堂)에 다닐 돈이 없어 백마강을 따뜻한 엄마 품으로 의지하며, 끼니는 고란사에서 궂은 일로 연명하고, 피나는 노력으로 주경야독한바, 향시(12), 진사시(19), 과거시(33)에 합격하였습니다. 이후 조정(朝廷) 및 지방관아에서 주요 관직을 두루 거치면서 영조시대 속대전 편찬 주역과 조선 4대 대자액서의 명필가로서 명성을 높였습니다. 정하언공은 백마강기슭 부여 옥호동의 학문수련 시절을 잊을 수 없어 자호를 옥호자(玉壺子)로 명명하고 시련모습은 평생 가슴속에 간직하고 살았다는 기록(청풍정기)이 있습니다. 하언공은 문학과 시서에 있어서 특출한 역량을 발휘하여 옥석 같은 수많은 예술적 걸출작품을 남겼습니다. 남겨 논 자료는 본서에 담기 어려운 칠언율시 시문 등을 백마강가에서 꿈을 키운 신동(神童) 미중에 담았습니다.

 

또한 본 책자가 우리 문화역사의 현장 안내에 선봉으로 계시는 문화재청과 각 도구청 및 문화원, 역사문화연구원 등의 문화재 담당자님, 관련유적과 문화해설사님, 향토연구사학자님, 사학 교수님과 전공학도님, 칠언율시 등 시문서(詩文書) 작품 연구진님 등 많은 분에게 알찬 참고자료가 되기를 기대하며 아래와 같이 책자활용을 안내합니다.

 

<백마강 가에서 꿈을 키운 神童 미중>

주저자: 정태식,

발행처: 사단법인 한국국유부동산연구원

주소: )05318 서울시 강동구 상암로 42 암사오피스텔 213

주문 전화: 070-7779-9609, Fax 02-578-9609

010-4228-5177

주문계좌번호: 국민은행, 사단법인 한국국유부동산연구원

E-mail: jyoungts@hanmail.net

홈페이지: www.kinp.or.kr의 부동산정보-컨설팅접수하기로 신청

가격: 3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