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인쇄 | 네이버 블로그 | 다음 블로그               

 
 
 아이디 저장하기
 



원장 인사말 동정 비전과 목표, 연혁 CI 소개 국부연 지부 조직 및 운영 국유재산 담당부서 및 관계기관 연구 공지사항 찾아오시는 길

연구 공지사항

 
성균관대학교 박물관에 보관중인 정하언 간찰 해석(한국국유부동산연구원단독)
관리자
작성일 : 19-01-22 17:44  조회 : 1,572회 
   http://cafe.daum.net/yoonilj/K9AT/330 [810]

http://cafe.daum.net/yoonilj/K9AT/330


그러므로 네이버 지식백과 정하언간찰 자료를 수정하여야합니다.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45237&cid=51293&categoryId=51293

 

✱ 『起遙岑美仲

離離宮樹欲生陰(리리궁수욕생음)

嶢嶢禁直岩臥深(요요금직암와심)

 

傀我林泉抛宿計(괴아림천포숙계)

推君館閣號詞林(추군관각사림)

 

堪折並値河淸會(기절병치하청회)

可許同期歲暮心(가허동기세모심)

 

相對無言還妙境(상대무언환묘경)

白雲何意起遙岑(백운하의 기요잠)

[해설]

 

기요잠 미중

궁궐을 떠나 숲속에서 살고 싶다.

높고 높은 깊은 산 중에 갇혀 낮잠도 자고 싶다.

난 샘이 있는 숲속에서 자볼까 생각도 했다.

나라 일 협조 요청하는 성균관 유림의 부름도 떨쳤다.

이런저런 일을 저버리고 맑은 하천에 모였다.

저무는 한해를 위해 다 같이 마련했다.

빼어난 경치에 서로 말이 없다.

새털구름은 어찌하여 마음대로 산등성에서 노느냐?

  

(성균관박물관에 소장중인 간찰원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