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인쇄 | 네이버 블로그 | 다음 블로그               

 
 
 아이디 저장하기
 



원장 인사말 동정 비전과 목표, 연혁 CI 소개 국부연 지부 조직 및 운영 국유재산 담당부서 및 관계기관 연구 공지사항 찾아오시는 길

연구 공지사항

 
[신간] 국동마을 문화공간 아카이브
관리자
작성일 : 21-10-28 00:43  조회 : 1,373회 

정도전의 한양 천도원리대로 국동마을에서 풍수논리를 적용하여 마을이름을 만들고 조선시대의 고서를 번역한 신간입니다.




책머리에

우리민족은 오랫동안 한반도에서 주옥같은 역사와 문화를 창출하면서 대를 이어왔다. 역사적으로 보면 단군조선에 이어 부여의 8만호와 고구려의 3만호가 존재하다가 멸망되었고 이후 발해가 부흥하였으나, 그 후예 들은 다시 러시아 캄차카반도에서 알류산 열도와 또 다른 알래스카 쪽을 통하여 캐나다와 시애틀을 거쳐 멕시코에 이르는 거대 아즈테카 제국을 이루었고, 또 다른 한축의 민족은 한반도에 정착하여 고구려, 신라, 백제, 고려와 조선을 거쳐 대한민국을 건국하였다고 사학자들의 연구서에 전해지고 있다.

한민족은 5천년이상 고난의 길을 걸으면서 역사와 문화를 형성하여 왔다. 이에 한민족은 자손들과 함께 평온을 유지하며 번영을 위해 풍수 좋은 환경을 선택하여 살면서 마을단위 이름도 풍수와 나라번영을 염원하면서 마을 관련된 풍수까지 고려하여 작명한 마을문화가 형성하여 왔다.

 

한민족의 역사를 심도 있게 보면, 수많은 외침과 내란, 환란 중에도 충효애민청백리 사상을 갖춘 선비들이 나라와 백성을 보호하기 위해 많은 노력들, 그리고 이들 내용을 정리하여 백성들과 함께 그들의 업적을 기렸다는 수많은 사료와 기록이 전해 내려오고 있는데, 이를 재조명하는 일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고 생각된다.

 

필자는 문화적 다양성을 높이기 위하여 서적과 자연 속에 버려져 있는 역사를 발굴하기 위해, 충청남도 공주시 탄천면 국동리 菊洞마을을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현존하는 자료를 찾기 위해 규장각, 국립중앙도서관, 대전시립박물관, 관련종친회 사료와 자연 속에 산재한 전국의 암각 및 누각樓閣 등을 중심으로 1995년부터 자료를 연구하였다.

풍수골로 형성한 정무 공주목사의 혼은 자연 속 박물관이 되어 국동마을에 자리 잡고 있다. 그리하여 그의 후손들은 조상의 삶을 기리며 자연속의 소형 박물관 못지않은 광활한 풍경 문화를 지니고 있다

이에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잠자고 있는 역사를 역동의 역사로 만들기 위해 백마강가에서 꿈을 키운 신동(神童) 미중, 조선후기 문신 정하언집에 이어 국동마을 문화공간 아카이브를 풍수골 공주시 국동 리지(菊洞里誌) & 시가詩歌 중심으로 집필하게 되었다.

본서는 조선후기 정협鄭埉 공이 남긴 국동 리지를 기초로 하여 제1장에서 국동마을을 풍수적으로 해설하여 보았다. 그리고 제2장은 1장과 비교하여 현세에 마을을 지켜온 수호신을 중심으로 엮었다. 3장은 국동마을에서 태어났거나 묻힌 분들의 문화공간 아카이브 마당에 작품을 담았다.

내용들은 한자초서로 전해오는 자료를 토대로 나라 잃은 일제강점기 이후 조선의 사대부들의 몰락으로 피폐해진 국동마을 대하여, 조선후기에 생생하게 살아 움직였던 그 모습을 재 품격 단장하여, 이를 토대로 글로벌 관광 사료화로 활용하여 국민소득 3만불 이상에 맞는 글로벌 문화 국민으로 나아가는 정신적인 모태로 제공하여 각 분야에서 조선의 작은 마을에 관한참고 지침서로 활용될 수 있도록 집필하였으며, 아울러 대표저자는 공동저자 이신 장영철 박사님과 집필 협조자에게 감사드린다.

 

또한 우리 문화역사의 현장 안내에 선봉으로 계시는 문화재청과, 각 도구청 및 문화원, 역사문화연구원 등의 문화재 담당자, 관련유적과 문화 해설사, 향토연구사 연구자와 전공학도, 시문서詩文書 작품 연구진 등 많은 분에게 귀한 참고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2021. 11

-신축(辛丑)Covid-19 속에 국동마을 문화공간 아카이브 연구-

대표저자 정 태식 박사 올림

 

 

 

◇◇ 목 차 ◇◇

 

1장 풍수로 형성한 국동마을_13

 

1. 정협 공이 리지里誌에 그린 국동마을_13

1) 공주목 국동마을_13

2) 지형지세_14

3) 건치연혁乾治沿革_16

4) 국사동 연혁_17

5) 국동리 주변 동명_17

6) 산록山麓_18

7) 마을을 풍수로 해설_23

8) 국동 주변 산세_26

9) 정리程里, (: 고개), (: )_28

10) 분묘(墳墓)_30

파주여산에서 공주목사로 국동에 안착_31

정무 공주목사의 행적_32

정하언 대사간 등의 묘_33

 

2. 여추하초인 상약서 與楸下樵人 相約序_39

 

2. 역사적으로 본 국동마을 풍수 환경_43

 

1. 마을유래_43

2. 주요 지명유래_46

1) 마을이름_46

2) _48

3) 고갯터_51

4) 골짜기_55

5) _56

6) 연못과 천_56

7) 신전 괴목제_56

3. 보릿고개 시절 국동리 집터 다지기_59

1) 유래_59

2) 민속의 특성_59

 

4. 보릿고개 시절 명절_67

1) 설날_67

2) 정월대보름날_67

3) 콩 볶아 먹는 날_68

4) 한식절_68

5) 화례花禮_68

6) 단오절_68

7) 칠석절_69

8) 백중절_69

9) 추석절_69

10) 시제(묘제)_70

11) 동짓날_70

 

5. 국동의 산신제 및 영일정씨 묘제_71

1) 산신제_71

2) 정무목사의 묘_72

연못에 얽힌 옥연지玉蓮池 실화와 설화_72

마을유래와 풍수번영제례_74

마을 샘물_75

 

3장 조선후기 국동마을 유시遺詩유필遺筆 회화_78

 

1. 인물소개_ 78

 

2. 정무鄭堥 공주목사_78

1) 정무목사 소개_78

마곡사 및 동학사 득남 성불_80

공직 중에도 성불_81

세손을 얻자 운명_92

2) 환상의 간찰과 시가_93

후장候狀- 복유신원伏惟新元_93

조여년阻餘年_95

이자불지상여爾者不至想如_96

자련自憐_98

무주선無周旋_99

의외승意外承_100

신고내하辛苦奈何_101

3) 정무목사의 공덕비_102

4) 정무목사 주요일대기_ 105

 

3. 정하언 대사간_107

1) 정하언 공의 주요 일대기_107

2) 정하언 생애_108

정하언 목사관저 출생_108

명문가 배필과 혼인으로 과거시험 준비_111

신풍댁 조부인은 열부烈婦_114

진사시험 합격(19), 큰 꿈을 위해 과거준비_115

규암나루 옥호동에 터를 잡고 글공부 매진_116

결혼 후 7년째에 과거 응시_116

100년 전에 풍수가는 과거급제를 예언_117

하언 공의 자녀는 다복한 49_119

영조 11년 과거시험 증광문과 고득점 합격_120

영조에 발탁되어 사관 겸직 등 본격적 업무_121

처삼촌(조동계)을 보내며 정하언 공이 쓴 제문_125

◎ 『속대전찬수에 중추적 수행_132

어제편제御製扁題와 광범문 편액 사서_133

정하언 공은 영조의 어제억잠御製抑箴편찬 참여_133

정하언 공은 공주를 찾아 시묘살이_135

신풍댁 조부인은 공주시 무성산에 묻혀_135

3) 정하언 공이 남긴 시가詩歌_136

결혼結婚_136

초화금인草花錦人_136

가슴 저린 과거시험 소식_137

제가와 학문의 도리_138

붕농월朋弄月_138

영천 조양각 술한잔_139

진연塵緣_140

만만 비원망萬萬非怨望_140

영남루전범주嶺南樓前泛舟_141

영남루 풍류 8_142

환속還俗_144

금일今日_144

칠인의 회식_145

동국안사東國安事_145

만취한 학동의 주정 모습_146

세고世故_147

재첩再疊_148

기요잠_149

작품 높이_149